국내금융(0524)

"한은, 26일 기준금리 인상…물가전망 4%대 예상"

한국은행이 오는 26일 기준금리를 0.25%포인트(p) 추가 인상하고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4%대로 크게 올려 잡을 것으로 전망된다.
2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5%대를 위협하는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빅 스텝(한꺼번에 기준금리 0.5%p 인상) 등으로 빨라진 미국의 통화 긴축 속도를 고려해 한은 금융통화위원회(이하 금통위)가 이달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 1.75%로 높일 것이라는 관측이 금융시장에서 압도적으로 우세했다.
금통위는 지난달 14일 이창용 총재 취임에 앞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참석 위원 6명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 0.25%포인트(1.25→1.50%) 높였다. 만약 26일 회의에서 다시 0.25%포인트 인상이 결정되면, 2007년 7월과 8월에 이어 14년 9개월 만에 처음 기준금리가 두 달 연속 오르는 셈이다.
이처럼 드문 일이지만 한 달만의 추가 인상을 전문가들이 예상하는 것은, 인플레이션(물가상승) 압력 역시 이례적으로 크기 때문이다. 4월 소비자물가지수는 국제 에너지 가격 급등, 공급망 차질 등의 영향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 4.8% 뛰어 2008년 10월(4.8%) 이후 13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.
당장의 물가 급등 뿐 아니라 경제 주체들의 강한 물가 상승 기대 심리도 문제다. 한은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4월 기대인플레이션율은 3.1%로 2013년 4월(3.1%) 이후 9년 만에 최고 수준에 이르렀다.
미국의 추가 빅 스텝에 따른 한·미 기준금리 역전 가능성도 한은을 압박하고 있다. .
미국 연방준비제도(Fed·연준)는 지난 3∼4일(현지시간)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(FOMC) 정례회의에서 22년 만에 빅 스텝을 밟아 정책금리(기준금리) 목표 범위를 0.25∼0.50%에서 0.75∼1.00%로 인상했다.
이에 따라 한국(1.50%)과 미국(0.75∼1.00%)의 기준금리 격차는 기존 1.00∼1.25%포인트에서 0.50∼0.75%포인트로 크게 줄었다.
우리나라 기준금리에 변화가 없다고 가정하면 앞으로 수개월 내 미국의 두 번째 빅 스텝만으로도 두 나라의 금리 격차는 거의 없어지고, 세 번째 빅 스텝과 함께 미국의 기준금리가 더 높은 상태로 역전될 수 있다.
달러와 같은 기축통화(국제 결제·금융거래의 기본 화폐)가 아닌 원화 입장에서 기준금리 수준이 미국을 웃돌더라도 차이가 크지 않으면, 외국인 투자자의 자금 유출과 급격한 원화 가치 하락 등이 나타날 수 있다.
더구나 미국 기준금리가 우리보다 높아지면 해외자금의 이탈과 원/달러 환율 급등, 이에 따른 물가 상승 가능성은 더 커진다.
전문가들은 이달까지 두 달 연속 기준금리가 오른 이후에도 연내 두세 차례 추가 인상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. 결과적으로 연말 기준금리는 2%를 훌쩍 넘어설 전망이다.
다만 대다수 전문가는 금통위가 한꺼번에 0.50%포인트를 올리는 빅 스텝에 나설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.
하지만 일각에서는 한은의 빅 스텝과 함께 연말 기준금리가 3%에 이를 가능성도 거론된다.
금통위 회의가 열리는 26일 한은은 수정 경제전망도 내놓는다.
시장에서는 한은이 현재 3.1%인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4%대로 높일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. 한은의 연간 4%대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은 2011년 7월(연 4.0% 전망)이 마지막으로, 이번에 10년 10개월 만에 4%대가 다시 등장할지 주목된다.
올해 실질 국내총생산(GDP) 성장률의 경우 3.0%에서 2%대 중후반까지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시각이다.
출처 | 김현경 기자

용어정리

1. 기준금리

한국은행이 금융기관과 환매조건부증권(RP) 매매, 자금조정 예금 및 대출 등의 거래를 할 때 기준이 되는 정책금리로서 간단히 ‘기준금리’(base rate)라고도 한다.
(환매조건부증권 매매: 일정 기간 이후 정해진 가격으로 되사는(되파는) 것을 조건으로 증권을 파는(사는) 것을 말한다.)
한국은행 금융통화위원회는 물가 동향, 국내외 경제 상황, 금융시장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 연 8회 기준금리를 결정하고 있다. 이렇게 결정된 기준금리는 초단기금리인 콜금리에 즉시 영향을 미치고, 장단기 시장금리, 예금 및 대출 금리 등의 변동으로 이어져 궁극적으로는 실물경제 활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.
기준 금리 ↑ → 시중 금리 ↑
-금리경로(단기시장금리, 장기시장금리, 은행 예금 및 대출 금리 등 금융시장 금리 전반)
: 기준금리 ↑ → 콜금리 등 단기시장금리 즉시 ↑, 은행 예금 및 대출 금리 대체로 ↑ 장기시장금리도 상승압력 o
→ 소비, 투자 등 총수요 영향 o
: 가계) 금리 ↑ → 차입 억제 저축 ↑, 예금이자 수입 ↑, 대출이자 지급 ↑ ~> 가계 소비 ↓
기업) 금리 ↑ → 금융비용 ↑ → 투자 ↓
-자산가격경로(주식, 채권, 부동산 등 자산가격)
: 금리 ↑ → 주식, 채권, 부동산 등 자산 ~> 얻을 수 있는 미래 수익의 현재가치 ↓ → 자산가격 → 가계의 자산(부) ↓ → 가계소비 ↓
-신용경로(은행의 대출태도)
: 금리 ↑ → 은행은 차주의 상환 능력에 대한 우려로 대출 신중 → 자금 조달하는 기업 투자 ↓, 대출자금 활용한 가계 소비 ↓
-환율경로(환율)
: 외국 금리 변화 x, 자국 금리 ↑ → 국내 원화표시 자산의 수익률 상대적 ↑ → 해외자본 유입 == 원화를 사려고 하는 사람 ↑ → 원화 가치 ↑ → 원화표시 수입품 가격 ↓ → 수입품에 대한 수요 ↑, 외화표시 수출품 가격 ↑ → 우리나라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해외수요 ↓
-기대경로(일반의 기대인플레이션 변화 ~> 물가 영향)
: 기준금리 ↑ == 물가상승률을 낮추기 위한 조치로 취한다는 의미로 해석 → 기대 인플레이션 ↓ → 기업의 제품가격 및 임금근로자의 임금 결정에 영향 → 실제 물가상승률 ↓

2. 빅스텝(big step)

금리를 한 번에 0.5% 포인트 올리는 것
통상적으로 금리 인상 폭은 0.25% 정도이나, 인플레이션 등의 이유로 큰 폭의 인상을 단행하기도 한다.

개인의견

추가 자료 혹은 이론

한·미 금리 역전폭 연말 최대 75bp…“채권 자금 이탈은 제한적일 것”

통화정책방향 관련 기자간담회(2022.4)